전문역량3 <공장식 집체 교육의 종말> 😑 GE, 3M 등 기업 연수원 매각 조치2024.06.25 원격교육에 밀려... GE도 연수원 팔았다, 2024.4.15. 매일경제GE(이제는 존재감 없는)와 3M이 기업 연수원을 매각합니다. 이유는 운영비 대비 효과의 가성비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과거 공장식 집체교육의 종말로 봐도 될 것 같다. 집단을 모아두고 기업이 원하는 바를 주입하는 교육은 이제 효과를 다 했다는 것이다. 기사에서 말하는 온라인 교육 때문이라는 데는 크게 동의가 되진 않는다. 온라인으로 집체 교육하는 건 오프라인 교육보다 효과가 떨어진다는 게 일반적이다. 온라인은 오프라인보다 교육 수행 융통성이 낮고, 수강생 집중도 역시 높지 않다.사실 이런 현상은 그룹 공채가 없어지는 이유와도 맥을 같이 한다. 일년에 한번 대량.. 2024. 12. 7. 일의 미래 9가지 트렌드 😏유연한 근무여건, 전문성 활용, 숙련자 은퇴2024.03.26 출처: "9 trends that will shape work in 2024 and beyong" (하버드비즈니스리뷰, 2024.01.23)일의 미래는 리더의 변화한 역할과 관련 있기에 관심 주제입니다. 최근 HBR에서 참고할 만한 아티클이 올라와 소개합니다. 일의 미래와 관련한 9가지 트렌드입니다. 제 생각(▶)을 붙입니다.1. 이전엔 없던 많은 혜택을 직원에게 제공한다... 유연한 근무제도, 주택보조금, 돌봄, 복지 프로그램 등 ▶ 점점 줄어드는 노동인구를 반영하는 듯 합니다. 국내에선 파격적인 출산 지원금을 내건 회사가 하나 둘 늘고 있습니다. 사실, 짧아지는 근속연수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죠. ;;;2. AI는 새로운 일자리를 만든.. 2024. 8. 15. 바로 '시험'이 필요할 때입니다 😐 '역량 평가 결과에 직원이 불만일 때'2024.03.05 인사 평가 결과에 대해 항의하는 직원 (DALL-E 생성)인사평가와 관련해 리더가 골치 아픈 부분이 바로 '정성 평가'입니다. 직원은 왜 '주관적으로 평가하냐'며 수용하지 못하겠다고 합니다. 사실, 평가는 '주관적'입니다. Good or Bad를 가르는 타겟을 정하는 것, 결과에 대한 해석 등에 따라 평가 결과는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주관적인 평가가 나쁜 게 아니라 '자의적인' 평가가 나쁜 것입니다. 룰이 허용하는 방향과 범위에 따라 평가자가 권한을 가지고 하면 됩니다. 아울러 '객관적 평가'도 1,000원 지폐 넣으면 1,000원짜리 물건이 나오는 기계적 객관성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평가 원칙과 내용을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숙지한 상태로 평가.. 2024. 7. 1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