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드백33

리더십스쿨2 시즌2 '피드백' 주제 첫 번째 모임 (2025.01.25) - 성과관리 상 면담과 피드백은 구별 필요 - 피드백을 해주는데 진정성을 높이는 방법은? - 면담을 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은? 관찰과 기록 - 피드포워드 = 피드백에 코칭 요소 - 성과평가 결과의 수용도를 높이는 방법은? - 피드백과 피드포워드는 연결돼있다. 개념상 구분하되 실전에서는 결합돼있다. - 모르는 업무를 하고 있는 직원에 대한 피드백은 어떻게? - 인지적 다양성이 중요 - 리더십은 리더 혼자 있다고 성립되는 게 아니다. 2025. 2. 6.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주제 네 번째 모임 (2024.12.14) 12월 14일 새벽 05:30에 모임을 가지고 토론했습니다.​- 억지로라도 자주 마주치면 친밀감이 형성된다.- '요즘 어때?'를 대체할 수 있는, 세련된 말은 무엇일까?- 관심사를 부담감 안 주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 정기적인 잡담의 힘- 목표(타겟)에 대한 상사/부하 간의 갭이 다르다면?- 목표 설정 시 '숫자'를 줄 때 생기는 부작용... 생각의 확장X, 관점의 전환X- 성과 평가에서 자기 평가의 의미- 피드백 시스템이 갖는 의미: 과정 관리 2024. 12. 14.
<위임의 기술> 세 번째 질문: 1:1 미팅(원온원), 코칭, 피드백, 멘토링, 부서 미팅... 이게 다 뭔가 싶다. 소통이 강조되면서 소통 잘하기 경주로 내몰린 리더가 많다. 최근 리더십 교육의 절반이 소통 주제다. 대략 이런 식이다. "1:1 미팅을 새로 시작하세요." "좋은 리더는 좋은 코치입니다." "제가 멘토링까지 해야 합니까?" "부서 미팅은 주간회의로 계속하는 게 맞나요?" "좋다고는 하는데 이걸 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소통의 형식과 기술을 구분해야 한다. 1:1 미팅(원온원), 코칭, 컨설팅, 피드백, 멘토링, 부서 미팅, 카운슬링... 형식은 소통이 일어나는 개념적 공간이고, 기술은 공간에서 활용하는 테크닉이다. 고로 이 둘을 구분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기술을 형식으로 이해하면 대혼란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교육과 시도는 각개격파 식으로 진행된다. 전체적으로 정확한 분류와 .. 2024. 10. 11.
리더십스쿨2 시즌1 '감성지능' 4회차 모임(2024.08.10) *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은 덤벼드는 용기를, 바꿀 수 없는 것은 받아들이는 용기를... * 두려운 상황이 더 두렵게 만드는 현상을 극복해야... 걱정을 걱정 말라. * 주변 사람들의 위로가 도움이 된다. * 불안한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 상태를 적어본다. 자기 합리화--(쓰다 보면)-->자기 객관화 * 감정이 격앙되면 스톱하라.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얘기할 수 있는 상대를 곁에 두라. (외부 코치 활용) * 불안과 공포의 구분 * 인지 재구조화가 필요 * 안 좋은 감정이 들면 행동의 루틴을 강화하라. like 산책, 운동, 명상 * 명상, 힐링이 필요 for 평정심 복귀 to 문제 직시, 직면, 대응 2024. 8. 10.
728x90